한국의 홀수 문화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의 홀수 문화
<홀수>는
우리 민족 정신 문화(精神文化)의
<깊은> 뿌리다.
거슬러 올라가 보면,
까마득한 시절부터
조선의 혼(魂)속에 묻혀
내려온 민족 문화(民族文化)다.
자연스런 일상생활의
넉넉한 관습(慣習)에서
얻어진 지혜(智慧)의 소산으로
<홀수>는
딱 맞아 떨어지는 <짝수>에
비해서 넉넉하고 여유롭다.
홀수 중에서도
특히 < 3 >을
선호(選好)하고 있지만,
1, 3, 5, 7, 9 모두가
우리 생활 속 깊이
맥(脈)을 내리고 있다.
우선 <국경일(國慶日)>이라든가
명절(名節)이 모두 <홀수 날>이다.
뿐만 아니라,
때 맞춰서 돌아오는 절기(節氣)가
거의 <홀수 날>에 들어있다.
<설날>과 <추석>이 그렇고,
정월 대보름(1월 15일),
삼짇날(3월 3일), 단오(5월 5일),
칠석(7월 7일), 백중(7월 15일)이 그렇다.
9월 9일은 <구중>이라 하여,
남자들은 시(詩)를 짓고,
여자들은 <국화 전>을 부쳤다.
천고마비(天高馬肥)의
살찌는 계절을 즐기던
조상님들의 흐뭇한 얼굴이 떠오른다.
생활 곳곳에
뿌리내린 < 3 >의 의미는
더욱 다양하다.
사람이 죽으면,
3일 장(葬) 아니면 5일 장(葬)을
치르는 것이 보통이지,
4일 장이나 6일 장은 없다.
역시, 삼우제(三虞祭)가 있고,
<49 제>라는 추모(追募)의 날이 있다.
망자(亡者) 앞에서는
홀수 날을 택하여
최대의 예우를 지키는 것이
뿌리 깊은 전통이다.
심지어 祭物(제물)을 올려도
<홀수>로 올리지,
<짝수>로는 차리지 않는다.
돌 탑을 쌓아도
3 5 7 9 홀수 층으로 올렸을 때에,
시각적으로 안정감이 들면서
보는 마음을 편케 한다.
애기를 낳고 금 줄을 쳐도
세 이레(三七日)동안 출입을 삼갔다.
신성한 생명을 지키면서 축복하자는
삼신 할미의 준엄 한 고지(告知)다.
봉투에 돈을 넣어도
우리 서민들은
두 자리 수가 아닌 이상,
3 만원 아니면 5 만원을 넣었지
4 만원이라든가 6 만원짜리
<기부 촌 지>는 보기 어렵다.
이렇듯 < 3 >이라는 숫자가
우리들 생활 중심에서
축(軸)을 이루고 있다.
춥고 긴긴 겨울을 삼동(三冬)이라 했고,
무더운 여름을 건너가려면
삼복(三伏)을 견디어야 한다.
무리를 일컬어 <삼삼오오>라 했고,
색깔을 이야기할 때도 <삼원 색>이
근원이다.
상고(上古)시대에
우리나라 땅을 마련해 준
삼신(三神)이 있다 하여
생명신으로 섬긴다.
삼재(三災)가 있는가 하면,
또 삼재(三才)가 있다.
현대에는 시위 문화에서
삼보일배(三步一拜)라는 것이
새로 생겼다.
간절하고 지극한 정성의 극치다.
가까운 <이웃>을 일컬어
<삼 이웃>이라는 좋은 표현이
있는가 하면,
잘 하면 술이 <석 잔 >,
못 하면 뺨이 <석 대>다.
힘겨루기 판을 벌여도
<5판 3승 제>를 하며,
만세를 불러도 삼창(三唱)까지 해야
속이 후련했다.
<짝수>는
죽은 자(者)의 숫자란 말이 있고,
<홀수>는 <산 사람>의 숫자란
말도 있다.
그래서
<제사 상(祭祀床)>에는
과일을 홀수로 올리고,
<절>을 두 번 하지만,
산 사람에겐 절을
<한 번만> 하면 된다.
삼 박자가 맞아 떨어져야
목적 한 것이 이루어진다는 믿음은
생활 속 곳곳에 숨어있다.
그만큼 < 3 >이라는 숫자는
우리 생활의 <디딤돌>이요,
구름 판으로 안정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좋은 글-
- 이전글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멋진 사람은 24.10.10
- 다음글웃음의 뿌리는 마음입니다 24.10.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