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5월 對중동 지역별 수출입 동향
페이지 정보

본문
2020년 5월 對중동 지역별 수출입 동향
1. 對GCC 6개국 수출입 동향
□ 5월 對GCC 6개국 수출은 6.7억 달러(전년 동기대비 △7.7%), 수입은 20.0억 달러(△60.7%), 무역수지는 13.3억 달러 적자
□ (수출) 전년 동기대비 對UAE 수출 감소, 對사우디 수출 증가
○ 對UAE 일반차량(△68.9%)·석유제품(△91.2%)·고무제품(△77.1%) 감소, 전기기기(+24.3%)·화학공업생산품(+949.1%)
○ 對사우디 일반차량(+49.5%)·철강(+71.5%)·화학공업생산품품(+3,138.7%) 증가, 보일러 기계류(△22.9%)·전기기기(△22.0%)·고무제품(△41.1%) 감소
□ (수입) 전년대비 광물성연료 수입액 30.0억 달러(△61.4%) 감소
○ 對UAE(△78.1%)·사우디(△65.4%)·오만(△29.8%)·쿠웨이트(△66.6%)·카타르(△43.1%)·바레인(66.4%) 감소
□ (무역수지)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한 광물성연료 수입액 감소로 적자폭 크게 감소
2. 對레반트(+이라크) 5개국 수출입 동향
□ 5월 對레반트(+이라크) 5개국 수출은 1.7억 달러(전년 동기대비 △45.4%), 수입은 1.8억 달러(△85.7%), 무역수지는 0.1억 달러 적자
□ (수출) 전년 동기대비 對레반트(+이라크) 5개국 모두 수출 감소
○ 對이스라엘 일반차량(△14.7%)·보일러 기계류(△22.0%)·전기기기(△30.0%)·플라스틱과 그 제품(△31.5%) 감소, 의류와 그 부속품 증가
○ 對이라크 일반차량(△82.6%)·전기기기(-50.1%)·보일러 기계류(△49.7%) 감소, 가구와 침구, 방직용 섬유제품(+41.8%) 증가
□ (수입) 전년 동기대비 ‘20년 5월 이라크산 원유 수입액 87.8% 감소
○ 對이라크 수입의 99.9%가 원유이며, 전월대비 수입액 2.4억 달러 감소
* 對이라크 원유 수입액(억 달러) : (‘20.1) 7.0 → (2) 6.7 → (3) 3.7 → (4) 3.3 → (5) 0.9
□ (무역수지)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한 이라크산 원유 수입액 감소로 무역수지 적자 큰 폭으로 감소
3. 對터키 수출입 동향
□ 5월 對터키 수출은 3.2억 달러(전년대비 △29.9%), 수입은 1.2억 달러(△14.8%), 무역수지는 2.0억 달러 흑자
□ (수출) 전년 동기대비 플라스틱과 그 제품(△45.7%)·철강(△31.2%)·유기화합물(△44.2%)·일반차량(△51.6%) 감소, 의료용품(+185.1%) 증가
□ (수입) ‘20년 5월 수입액 전년 동기대비 14.8% 감소
4. 對이란 수출입 동향
□ 5월 對이란 수출은 1,451.6만 달러(전년대비 △2.6%), 수입은 65.2만 달러(△26.0%), 무역수지는 1,386.4만 달러 흑자
□ 미국의 對이란 무역제재 지속으로 對이란 교역 어려움 지속. “끝”
첨부. 국가별 주요 수출입 품목 (상위 10개)
- 이전글해외서 라면 '펄펄'… 상반기 농식품 수출액 4.4%↑ 20.07.03
- 다음글살아난 對중국 수출이 '반등 신호'?…"예단 일러" 20.07.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