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주도 글로벌 역직구 시장…韓, 품질 등 차별화 전략 필요"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Customer Center

고객센터 우리는 끊임없는 혁신과 전문성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포워딩, 수출입 무역대행 종합무역회사입니다.
  • scroll down

공지사항

​"中 주도 글로벌 역직구 시장…韓, 품질 등 차별화 전략 필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천우글로벌
댓글 0건 조회 212회 작성일 24-09-02 09:32

본문

"中 주도 글로벌 역직구 시장…韓, 품질 등 차별화 전략 필요"

무역협회 보고서…글로벌 10대 이커머스 플랫폼 중 5곳이 中기업

 

9F5E9CEB6C08460B86555BC44048BEA3
중국의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

 

중국이 주도하는 세계 역직구(해외 직접판매) 시장에서 한국이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상품을 판매하는 등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역직구 수출 시장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시장은 지난 2014년 1조3천억달러에서 지난해 5조8천억달러로 연평균 18.1%의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같은 기간 한국의 이커머스 플랫폼 역직구 규모도 6천719억원에서 1조6천972억원으로 2.5배 급증했다.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은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 '알테쉬'로 통칭하는 거대 중국 플랫폼이 주도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 기준 글로벌 상위 10대 이커머스 플랫폼 가운데 절반이 중국 플랫폼이었다. 1위는 미국의 아마존이 차지했지만, 2∼6위는 테무, 타오바오, 티몰, 징동닷컴, 콰이샵 등 모두 중국 플랫폼이 꿰찼다. 이어 7위 월마트(미국), 8위 쇼피(싱가포르), 9위 이베이(미국), 10위 쿠팡(한국) 순이었다

 

3F9AB3FA20AA4C8181FC6B60618B7D1F
글로벌 상위 10대 이커머스 플랫폼 

 

보고서는 중국 플랫폼들이 초저가 전략 외에도 특성에 맞춘 해외 진출 전략으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진출 지역에서 과감한 투자와 현지 유명 상품 동시 판매를 통해 소비자 인지도를 높였고, 테무는 도소매 판매자를 거치지 않고 제조업체를 직접 소비자에게 연결하는 'M2C' 유통전략을 사용했다. 쉬인은 패션 상품의 디자인부터 판매까지의 전 과정을 1∼2개월로 단축하는 '슈퍼 패스트 패션' 전략을 펴고 있다.

 

보고서는 중국 플랫폼의 공통적 성공 요인인 '초저가 전략'이 장기적으로는 기업과 소비자 양측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한국 플랫폼들은 중국의 전략을 벤치마킹하되 차별화된 전략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국내 플랫폼 기업에 국내외 물류 생태계 구축을 통한 물류 효율화를 달성할 것을 조언하고, 판매자의 경우 저가 제품과의 직접 경쟁보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준을 충족하는 상품을 판매하는 등 양질의 상품으로 차별화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김나율 무역협회 연구원은 "역직구 판매액의 가파른 증가세에서 확인할 수 있듯 역직구는 매우 효과적인 수출 판로가 되고 있다"면서 "국내 소규모 판매·제조업체의 해외 시장 진출 발판이 되는 이커머스 플랫폼 육성을 위해 민관이 함께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제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업체명 : (주)천우글로벌
대표자 : 이홍래
사업자 : 206-86-66055
주소 : 서울시 성동구 상원1길 26 서울숲 A타워 704호TEL : 02-499-0062
FAX : 02-465-6597
E-mail : jhson@cheonwooglobal.com

Copyright © (주)천우글로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