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한국 경제, 서비스 비중 늘고 무역 의존도 줄어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Customer Center

고객센터 우리는 끊임없는 혁신과 전문성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포워딩, 수출입 무역대행 종합무역회사입니다.
  • scroll down

공지사항

​​2023년 한국 경제, 서비스 비중 늘고 무역 의존도 줄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천우글로벌
댓글 0건 조회 58회 작성일 25-09-26 10:40

본문

2023년 한국 경제, 서비스 비중 늘고 무역 의존도 줄어

부가가치·취업·고용 유발계수 모두 올라

 

0C99FBE099F5459A87919B3AD5BCC482
사진은 이날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지난 2023년 한국 경제에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늘고 공산품이 감소했다. 원자재 가격 하락 등에 무역 의존도 역시 줄었다. 한국은행이 24일 공개한 '산업연관표'에 따르면 2023년 우리나라 재화·서비스 총공급액(총수요액) 6천802조7천억원 가운데 29.6%가 수출과 수입을 더한 대외거래였다. 이 비중은 2022년 31.5%보다 1.9%포인트(p) 감소했다.

 

부상돈 한은 투입산출팀장은 "수입 원자재 가격이 내리고 컴퓨터·전자·광학기기 등의 수출도 줄어 경제에서 대외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산업 구조를 보면, 총산출액(부가가치+중간투입) 가운데 공산품의 비중이 석탄·석유제품 등 기초소재를 중심으로 1년 새 42.8%에서 41.2%로 줄었다. 반대로 서비스 비중은 전문·과학·기술 서비스 위주로 46.8%에서 48.1%로 늘었다. 부가가치 기준에서도 공산품은 26.2%에서 25.0%로 축소됐지만, 서비스는 65.1%에서 65.4%로 증가했다.

 

2023년 기준 부가가치 유발계수(0.752)는 전년(0.729)보다 올랐다. 부가가치율(부가가치/총산출액)이 40.1%에서 41.2%로 높아진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생산유발계수도 1.818에서 1.827로 상승했다. 국산 중간투입률(국산 중간재 투입액/총투입) 상승과 관련이 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부가가치·생산 유발계수는 어떤 상품의 수요가 1단위 발생했을 때 이를 충족하기 위해 해당 상품을 만드는 부문을 포함한 모든 부문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부가가치·생산의 크기를 말한다.

 

2023년 전업 환산(FTE;full-time equivalent) 취업자는 2천599만명으로 1년 사이 56만명 늘었다. 전업 환산 취업자는 시간제 근로자의 노동량을 전일제 근로자의 기준으로 바꿔 산출한 통계로, 임금금로자(상용직+임시·일용직)와 자영업자, 무급 가족종사자를 포함한다. 취업 형태별로는 상용직 임금근로자의 비중이 59.6%에서 61.0%로 커졌지만, 일용직은 15.4%에서 14.5%로 줄었다.

 

부문별로는 서비스 취업자 비중이 71.1%에서 71.7%로 늘어난 반면 공산품 취업자는 14.5%로 0.3%p 감소했다. 취업유발계수(8.2명)와 고용유발계수(6.2명)는 모두 2023년(8.1명·6.1명)보다 올랐다. 취업·고용유발계수는 최종 수요가 10억원 발생할 경우 전산업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취업자 수와 임금근로자 수를 각각 말한다.

 

6BB93E5DBFB449278FB1A6793E44D6CD

 

[연합뉴스 제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업체명 : (주)천우글로벌
대표자 : 이홍래
사업자 : 206-86-66055
주소 : 서울시 성동구 상원1길 26 서울숲 A타워 704호TEL : 02-499-0062
FAX : 02-465-6597
E-mail : jhson@cheonwooglobal.com

Copyright © (주)천우글로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