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수렁' 韓경제…최대 이익에도 4대 금융지주 건전성 역대 최악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Customer Center

고객센터 우리는 끊임없는 혁신과 전문성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포워딩, 수출입 무역대행 종합무역회사입니다.
  • scroll down

공지사항

​'빚 수렁' 韓경제…최대 이익에도 4대 금융지주 건전성 역대 최악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천우글로벌
댓글 0건 조회 17회 작성일 25-11-10 10:33

본문

'빚 수렁' 韓경제…최대 이익에도 4대 금융지주 건전성 역대 최악

요주의채권 최대…역대급 충당금·상매각 불구 NPL커버리지비율 최저

"저성장·양극화에 자영업 등 취약계층 연체 확대…더 늘수도"

 

9D7E2700BFF24BE389DB3580F5D7D013
(서울=연합뉴스)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이자·수수료로 올해 3분기까지 15조원이 넘는 최대 이익을 거뒀지만, 동시에 부실 대출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수년간 저성장·고금리 환경이 이어지면서 한계에 이른 자영업자, 중소기업 등 취약차주(대출자)들이 원리금을 제때 갚지 못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최근 경기 회복마저 일부 대기업·수출기업 위주로 이뤄지면서, 당분간 금융권의 자산 건전성 지표가 계속 나빠질 것이라는 경고도 나온다.


◇ NPL커버리지비율 123.1%…1년새 18.5%p 급락

 

9일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1분기 실적과 함께 공개한 팩트북 등에 따르면, 3분기 말(9월 말) 기준 이들의 요주의여신(연체 1∼3개월) 합은 18조3천490억원으로 집계됐다.

 

우리금융지주 출범으로 4대 금융지주 합산 통계가 시작된 2019년 1분기 이후 최대 규모다.

 

요주의 단계보다 부실이 더 심한 고정이하여신(NPL·연체 3개월 이상)도 9조2천682억원으로 집계됐다. 4대 금융지주 출범 이래 가장 많았던 2분기(9조3천42억원)보다는 360억 정도 줄었지만, 1년 전인 작년 3분기 말(7조8천651억원)보다 18%나 늘어 여전히 역대급 규모다.

 

이에 따라 전체 여신(대출) 중 NPL 비율(단순평균·0.72%) 역시 최고 기록인 올해 1분기 말(0.74%)이나 2분기 말(0.74%)과 큰 차이가 없었다.

 

반대로 부실 감당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4대 금융지주의 단순평균 NPL커버리지비율(대손충당금 잔액/고정이하여신)은 123.1%로 역대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작년 3분기 말(141.6%)과 비교해 1년 사이 18.5%포인트(p)나 급락했다.


◇ 4대금융지주 3분기까지 5.6조 충당금 '최대'…4대은행 상매각 4.6조

 

이런 주요 금융지주의 건전성 지표 악화는 나름대로 각 금융지주가 막대한 충당금을 쌓고 활발한 상·매각으로 부실 채권을 털어내고도 막지 못했다는 점에서 더 심각하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4대 금융지주는 총 5조6천296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했는데, 역시 비교가 가능한 2019년 이후 3분기 누적 기준으로 가장 많다.

 

아울러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올해 1∼3분기에 걸쳐 모두 4조6천461억원어치 부실 채권을 상·매각했는데, 이는 이들 은행 상·매각 합산 통계가 가능한 2018년 이래 3분기 누적 기준 최대 기록이다.

 

은행은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 채권을 '고정 이하' 등급의 부실 채권으로 분류하고 별도 관리하다가, 회수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되면 떼인 자산으로 간주한다. 이후 아예 장부에서 지워버리거나(상각), 자산유동화 전문회사 등에 헐값에 파는(매각) 방식으로 처리한다.


◇ "집값 등에 늦춰진 금리 인하도 영향…관세·환율 등 불확실성도"

 

금융권은 부실 확대의 원인으로 수년간 이어진 한국 경제의 저조한 성장과 높은 금리 등을 꼽는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지만 양극화로 모든 경제 주체들이 체감하기 어려운 데다 환율 등 경제 불확실성도 커 자영업자나 중소기업 등 취약계층은 여전히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부동산·가계부채 관리 등을 위해 기준금리 인하가 지연되면서 시장금리 인하 속도도 예상보다 느린 점도 채무자의 이자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른 금융지주 관계자도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무역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경기 회복 지연에 따라 한계 중소기업과 취약 업종 등 고위험 섹터 위주로 부실 대출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전했다.

 

전망은 다소 엇갈린다. 증시 활황과 소비 쿠폰 등 경기부양책의 영향으로 경기가 더 살아나면 금융권 여신 건전성도 회복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지만, 근본적으로 당분간 경제 성장률이 잠재 수준(약 2%)을 하회할 가능성이 큰 만큼 뚜렷한 한계 차주 감소나 금융권 자산 건전성 개선이 나타나기 어렵다는 우려도 있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고금리 고객 대상 금리 감면 프로그램, 취약차주 채무조정 등의 포용적 금융을 실천해 선제적으로 건전성 악화를 막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금융지주 관계자는 "부실 우려 자산과 관련해 추가 대손충당금을 적립하고, 적극적 상·매각을 통한 NPL 감축을 시도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연합뉴스 제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업체명 : (주)천우글로벌
대표자 : 이홍래
사업자 : 206-86-66055
주소 : 서울시 성동구 상원1길 26 서울숲 A타워 704호TEL : 02-499-0062
FAX : 02-465-6597
E-mail : jhson@cheonwooglobal.com

Copyright © (주)천우글로벌 All rights reserved.